양적완화란
Economics2021. 12. 15. 11:31
반응형
양적완화(QE; Quantitative Easing)는 중앙은행이 경기부양을 위해 채권 매입을 하여 시중에 돈을 푸는 것을 일컫는다. 2008년 연준(FRB; Federal Reserve System)의장 버냉키가 금융위기에 대한 대책으로 사용하면서, 일반인에게도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다.
양적완화는 경기회복과 디플레이션 위험을 억제하기 위한 통화정책이다. 즉, 물가안정과 완전고용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통화정책들의 연장선으로 볼 수 있다.
버냉키의 양적완화는 크게 3 단계로 이루어졌다.
<표1. 버냉키 양적완화>
QE1 | QE2 | Operation Twist | QE3 | |
내용 | 국채와 모기지 채권 매입 | 국채 매입 | 장기국채 매입, 단기국채 매각 | 매월 국채와 모기지채권 매입 |
목적 | 가계 모기지 자금조달비용 축소 | 더블딥 및 디플레이션 우려 해소 | 장기금리 안정 | 실업률 하향, 소비증진, 주택경기부양 |
발표시기 | 2009년 3월 | 2010년 11월 | 2011년 10월 | 2012년 9월(MBS), 12월(국채) |
규모 | 국채: 3000억 달러 MBS: 1조 4500억 달러 |
장기국채: 6000억 달러 | MBS: 매월 400억 달러 국채: 매월 450억 달러 |
- 벤 버냉키는 헬리콥터 벤이라고 별명까지 생김
- 비난: 실물경제로 흘러가지 못하고, 금융자산으로 흘러갔다.
오퍼레이션 트위스트(operation twist)는 양적완화 정책이 물가만 오르고 경기부양이 미미하다는 비난 속에서 등장하게 되었다.
<표2. 오퍼레이션 트위스트(operation twist)>
내용 | |
기원 | 1961년 존 F.케네디 시절 처음 등장 |
등장 배경 | 물가만 오르고 경기부양이 미미하다는 비난 속에서 대안으로 등장 |
분류 | 공개시장조작 수단 |
방식 | 장기 국채 매입, 단기 국채 매도 |
특징 | 장기 금리가 낮아지고 단기 금리가 오르는 효과발생(장기 채권 가격 오르고, 단기 채권 가격 떨어짐) |
장점 | 유동성을 늘리지 않기 때문에 인플레이션 우려가 적고, 경기 부양을 추구 |
헬리콥터 머니
내용 | |
용어 | 경제 위기가 닥치면 헬리콥터에서 돈을 뿌리듯이 사람에게 돈을 줘야 한다는 밀턴 프리드먼의 생각에서 기원 |
목표 | 유효수요를 통한 경제 활성화 |
유사개념 | "경제를 살리려면 가난한 자의 주머니를 채워라." 존 메이너드 케인스 |
특징 | 중앙은행이 정부 채권 매입을 통환 간접적인 유동성 공급이 아닌, 화폐 발행을 통한 직접 가계에 지금하거나 정부 지출 재원을 조달 |
장점 | 정부 부채 증가 없이 재정 지출 늘릴 수 있음(vs 양적완화는 만기 도달시 회수) |
비난 | 하이퍼인플레이션 우려 존재 |
유사 사례들 | 1920년 독일 하이퍼인플레이션 |
관련된 계량변수
- 실업률
- 장단기 금리차
- 주택담보증권금리
- 주택담보증권금리와 모기지이자율 스프레드
참고문헌
[1] 미 연준과 유럽중앙은행의 비전통적 통화정책 수행원칙에 관한 고찰; 김병기, 김진일; 금융연구 29권1호; 2015년 3월
[2] 미 연준 양적완화정책(QE)의 재정정책적 의미와 시사점; 임형석; 주간금융브리프, 20권 29호; 2011년
[3] 세계는 왜 헬리콥터 머니를 뿌렸을까?; 기획재정부 경제로 세상읽기; 2021년 2월
반응형
댓글()